티스토리 뷰

반응형

흔한 말의 질병-말은 왜 파행을 할까요?

현재 대부분 말의 용도는 기수들이 경주를 하거나, 또는 자신의 운동과 즐거움을 누리기 위해 취미로 승마를 하는 사람들을 태워주는 일일 것입니다. 말에게 흔히 있는 질병 중에 저번에는 산통(배앓이) 보았다면, 이번에는 말의 파행에 대해 알아 보고자 합니다.  

 

흔한 말의 질병 - 파행 검사(굴절 검사)

파행의 원인

승마를 하던 경주마를 하던, 말로 스포츠경기를 뛰던 우리는 말과 함께 하는 일상 중에 너무 흔히 접하는 것이 말의 절뚝거림(파행)입니다. 말의 파행의 원인은 너무나 다양해서 원인을 때로는 찾기가 수월하지 않을 있습니다. 다음의 파행의 원인으로 고려해볼 있는 사항들입니다.

 

장제(말의 발굽을 삭제한 편자를 씌우는 ) 편자가 맞거나, 굽의 높이와 각을 잘못 잡은 경우

건이나 인대에 통증이 생긴 경우, 건이나 인대의 손상

과한 운동으로 미미한 골절이나, 뼛조각이 생긴 경우

감염 등에 의한 질병의 문제(제엽염)

관절 등에서 문제가 생긴 경우

기승자의 서툰 동작에 따른 문제로 파행이 보일 수도

체형(컨포메이션) 문제로 절뚝거림으로 보일 수도

답창에 의한 파행

어깨부터 발의 근육의 문제

 

파행은 어떻게 찾아낼 있나요?

위의 다양한 파행의 원인들로 인해 말은 정상적으로 걷거나 뛰지 못하고, 절뚝거리는 경우가 생긴다. 대부분의 파행은 앞다리에서 발견됩니다. 뒷다리 파행은 앞다리에 비해 많치 않습니다.

 

말의 보법은 (1) 걷는 - 평보, (2) 가볍게 뛰는 - 속보,  (3) 달리는 - 구보, (4) 전력질주- 습보  이렇게 크게 4가지로 나뉩니다. 미미한 파행은 평보일 때는 보이지 않습니다. 반대로 파행이 심하면 평보일 보인다는 얘기입니다. 

 

파행 여부와 원인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가장 먼저 체크하는 순서는 발굽부터 다리, 어깨 순으로 살펴보는 것입니다. 붓기와 열감, 마체를 만졌을 말이 싫어하거나 아파하는 곳이 있는 지를 체크하는 것입니다. 쉽게 살펴보기 위해서 양쪽 다리를 비교해보는 것도 괜찮습니다. 붓기나 열감 같은 것은 쉽게 차이를 느낄 있을 것입니다. 붓기가 있다면 다리가 크게 보일 것이고, 열감은 어느 쪽이 따뜻한지 손으로 차이를 있습니다.

 

승마장에서 말의 파행을 살펴 보통 속보를 해봅니다. 머리의 움직임을 리드끈으로 의도적으로 당기지 않고 말이 편안하게 머리를 있도록 하면서 속보를 해야 정확히 어느 다리에 파행이 있는 확인할 있습니다.  리딩이 불편하면 원형마장에서 말을 돌리셔도 됩니다.

때론, 오르막과 내리막길에서 말을 왔다갔다 명확히 파행을 수도 있습니다. 

아픈 다리로 인해 파행이 생기고, 아픈 다리를 최대한 보호하려는 과정 중에 두번째 파행이 생기기도 합니다.

 

어느 다리가 저는 다리인가요?

(앞다리)

속보를 앞다리 양쪽 건강한 경우, 머리의 높낮이가 변화없이 일정하게 주욱 유지되어 갑니다. 하지만 저는 다리가 땅에 닿게 머리를 올리게 되고, 반대로 건강한 다리가 땅에 닿으면 머리를 떨어뜨립니다. 

 

(뒷다리)

뒷다리는 골반을 보고 판단합니다. 말이 걷거나 속보를 저는 다리쪽의 골반이 정상의 위치로 올라오지 않습니다. 

 

파행의 정도 수의사를 불러야

대부분의 파행은 말들이 쉬어주면 괜찮은 파행일 때가 많습니다. 파행은 매우 미미한 파행부터 말이 땅에 발을 딛지 못할 정도로 매우 심하여 움직이는 것조차 어려운 파행까지 있습니다. 특히 답창이 의심되는 경운 제엽염으로 의심되는 동작, 그리고 외부 상처에 의한 파행으로 의심되는 경우에는 반드시 수의사를 불러 적절한 조치와 치료를 진행해야 합니다. 

 

 

 

파행 검사

 

수의사 또는 장제사가 파행 검사를 먼저 일직선으로 평보와 속보를 왔다 갔다 진행 시켜 말의 다리의 보행을 살펴봅니다.

 

의심이 되는 다리에는 Flextion tests 진행합니다. 무릎과 구절을 접고 30~45초간 유지합니다. 이후 바로 속보를 시행해봅니다. 파행이 있는 다리인 경우, 더욱 명확하게 다리를 저는 것이 보입니다. 얼마나 저는 것이 오래 지속되는 어느 정도 파행인지를 파악합니다. 

경우에 따라 Nerve-blocking 진행합니다. 명확한 통증의 위치와 원인을 찾아내기 위해 수의사는 진통제를 사용하여 신경을 차단합니다. 제일 아래인 발부터 어깨의 위치에 이르기까지 추정 가능한 곳을 신경차단해가면서 정확한 원인을 찾아내는 것입니다.

이외에 엑스레이와 스캐너를 통해서 뼈와 조직을 보면서 찾을 수도 있습니다. 

 

 

파행의 원인이 다양한 만큼 적절한 치료 방법을 찾기 위해서는 정확한 원인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보법상 절뚝거림처럼 보이는 경우가 있다할 지라도, 대부분 말은 사람을 태우고 가벼운 운동에서부터 고강도 운동에 이르기까지 근육과 건, 인대에 강한 부하가 걸릴면서 오는 파행이 생길 것입니다. 파행을 하게 되면 적절한 처치와 치료를 하거나, 적절한 휴식을 통해서 항상 말이 건강한 상태에서 운동을 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할 것입니다. 

반응형